[태그:] 불닭볶음면

  • 이베이재팬, 日서 신라면 툼바·불닭볶음면 인기…K면 수요 40%↑

    이베이재팬, 日서 신라면 툼바·불닭볶음면 인기…K면 수요 40%↑

    일본에서 K면 인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냉면, 라면, 볶음면 등 면 종류에 관계없이 찾는 수요가 늘고 있는데, 한국 식품기업들이 일본에서 신제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고, K푸드 전반에 대한 일본 MZ들의 신뢰가 높아진 것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 이베이재팬(eBay Japan·구자현 대표이사)이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Qoo10.jp)’에서 2025년 상반기 기준 한국 면류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제품이 아닌 면류 전체적으로 30%에 육박하는 증가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큐텐재팬이 분기별로 진행하는 최대 할인 행사 메가와리(5월 31일~6월 12일)에서는 직전 메가와리(2월 28일~3월 12일) 대비 40% 증가하며, 더 큰 성장세를 보였다. 실제로 올해 K라면 일본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대표제품으로 신라면 툼바, 진라면, 불닭볶음면 등이 있다. 큐텐재팬이 5월 1일~21일 기준으로 한국 면류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쫄깃한 식감으로 한국 정통 냉면 맛을 느낄 수 있는 ‘보리촌 보리냉면’이 1위에 올랐다.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매콤한 크림 파스타 풍미의 ‘신라면 툼바’ 봉지면과 컵라면은 각각 2위와 5위를 차지했다. ‘진라면’은 3위, ‘불닭볶음면’은 4위에 올랐다.

    ‘팔도비빔면 컵’, ‘농심 푸팟퐁구리 큰사발면’, ‘오뚜기 크림진짬뽕’ 등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컵라면도 많이 찾고 있다. K면 외에도 김·건어물, 국(스프) 같은 장바구니 기본 아이템들도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한국산 김·건어물과 국(스프) 카테고리가 각각 27%, 21% 증가했다.

    이베이재팬은 K푸드가 일본 젊은 세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만큼 다양한 한국 식품을 소개하는 K푸드 기획전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한국 식품기업은 물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 등과도 긴밀한 협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베이재팬 JP Lifestyles실 마루야마 메구미 실장은 “K면을 필두로 김·건어물, 국류 등 기본 먹거리 아이템까지 일본에서 K푸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K푸드가 K뷰티·K패션과 함께 일본 내 K라이프스타일 열풍을 이끌고 있는 만큼, 관련 기획전을 강화해 다양한 한국식품을 일본 소비자들에게 소개하고 한국 식품기업 등과의 협업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Qoo10.jp)’을 운영하고 있는 이베이재팬은 미국 이베이 그룹사가 된 지 올해로 7주년을 맞았다. 이베이 그룹은 19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수백만명의 셀러와 1억3400만명이 넘는 바이어를 연결하는 세계 최대급의 마켓플레이스 ‘이베이’를 운영하고 있다.

  • 홈플러스 온라인, 비국물라면 인기 급증…파스타라면 매출 143%↑

    홈플러스 온라인, 비국물라면 인기 급증…파스타라면 매출 143%↑

    세계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라면 소비량은 약 1202억 개로 집계됐다.

    세계에서 라면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상위 3개국은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순이며, 한국은 약 40억 개를 소비해 8위에 이름을 올렸다. 더불어,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을 보면 한국이 약 78개꼴로 베트남에 이어 세계 두 번째를 차지했다. 이처럼 한국인의 라면 사랑이 지속되는 가운데, 홈플러스 온라인은 비(非)국물라면이 올 한 해 많은 주목을 받으며 전통 강자인 국물라면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올해 3~11월 기준 비국물라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올랐다. 이는 동기간 국물라면 매출 신장률 대비 6%p 높은 수치다. 최근 3년 간 연평균 성장률 또한 홈플러스(대표 조주연) 비국물라면이 국물라면보다 4%p 높은 18%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비국물라면 내 주요 카테고리별 매출도 대부분 크게 성장했다. 특히 파스타라면 매출은 전년비 무려 143%가량 늘었고, 불닭볶음면(24%), 짜장라면(13%)도 큰 인기를 끌었다. 매출 규모를 보면 짜장라면(48%)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비빔면·쫄면(21%), 불닭볶음면(18%)이 그 뒤를 이었다.

    컵라면과 봉지라면으로 구분해 봐도 비국물라면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올해 3~11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비국물 컵라면(24%) 매출은 국물 컵라면(3%) 대비 8배가량 높았으며, 비국물 봉지라면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두자릿 수 성장률을 보였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컵라면에서는 비빔면·쫄면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비 48% 급성장했다. 특히, ‘오뚜기 진비빔면’ ‘농심 배흥동 큰 사발’ ‘팔도비빔면Ⅱ’ 등 신제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매콤 볶음면류’ 매출도 ‘라면볶이컵’ ‘컵누들매콤찜닭맛’ ‘간짬뽕’ 등에 관심이 집중돼 전년 대비 약 94% 뛰었다.

    또한, 봉지라면과 컵라면의 전체 매출 비중이 7:3 수준임에도 ‘마라면’ ‘매콤 볶음면’ ‘글로벌면’의 올해 매출 규모는 봉지라면 보다 컵라면이 우세했다. 각 카테고리 매출에서 컵라면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매콤 볶음면(56%), 마라면(56%), 불닭볶음면(47%) 수준으로 모두 절반 가까이 달했다.

    동기간 봉지라면에서는 파스타라면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비 237% 증가했고, 야끼소바·카레·우동(59%), 불닭볶음면(30%) 순으로 매출이 늘었다. 무엇보다 지난 10월에 출시된 ‘신라면 툼바’ 봉지라면은 출시 두 달 만에 올해 파스타라면 카테고리 매출 비중의 24%를 차지하며 대표 상품으로 등극했다.

    연령대별 선호도 분석에 따르면,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국물라면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올해 11월 기준 국물라면을 구매한 여성 고객 수 비중은 60대(77%)가 20대(66%) 보다 11%p 높았으며, 남성 고객 역시 60대(79%)가 20대(65%) 보다 14%p 많았다.

    비국물라면의 경우 남녀 고객 수 모두 젊은 층 비중이 높았다. 특히, 여성 고객 수는 20대가(34%)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남성 고객 수는 20대(35%), 30대(30%) 비중이 컸다. 비국물라면은 대게 여성이 더 선호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파스타면, 매콤 볶음면 카테고리는 30대 기준 남성 고객 수 비중이 여성보다 높게 나왔다. 이 밖에도 불닭볶음면 카테고리에서는 50대 남녀 고객 수가 전년비 각각 15%, 24% 오르며 가장 큰 성장률을 보였다.

    조혜영 홈플러스 온라인마케팅본부장(이사)은 “비국물라면은 개인의 취향대로 레시피를 만드는 모디슈머 트렌드와 소비 과정에서 재미를 중시하는 펀슈머 트렌드가 더해져 라면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넓히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취향과 입맛을 발 빠르게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를 온라인의 높은 접근성에 기반해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