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홈플러스 당당치킨

  • 홈플러스, AI최저가격으로 물가안정 동참…최대 50% 할인

    홈플러스, AI최저가격으로 물가안정 동참…최대 50% 할인

    홈플러스(대표 조주연)가 높아지는 외식 물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신선식품 등 각종 먹거리를 AI최저가격에 제공하는 물가안정 프로젝트를 오는 5월 29일까지 실시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 대비 3% 올랐다. 이는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인 2.9%보다 0.1%p 높은 수치다. 특히, 외식 세부 품목 중 떡볶이(5.9%), 비빔밥(5.3%), 김밥(5.3%), 햄버거(5.0%)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처럼 외식 물가의 고공행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부담이 적은 집밥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따라서 홈플러스는 빅데이터 알고리즘 기반의 AI최저가격 제도를 통해 매주 선정한 핵심 상품들을 업계 최저가로 선보이며 고객들의 주머니 부담을 낮추는데 힘쓰고 있다. 우선, 마이홈플러스 멤버십 회원 대상 새벽수확 양상추(통), 캐나다산 냉동 만능 우삼겹(800g), 완도 전복(특대), 흰다리새우(마리)를 모두 반값에 판매한다.

    1990 바나나(전점 5만송이 한정/1인 2송이 한정/홈플러스 온라인 제외), 무(개), 하림 무항생제 신선한 영양란 대란(25구), 오뚜기 스낵면(108gx5입)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며 햇반(2종)은 최대 3000원 할인한다. 행사 카드로 결제 시 항공직송 체리(500g/미국산)도 3000원 할인된 가격에 맛볼 수 있다. (행사카드: 신한 삼성 국민 롯데 농협 하나 광주 전북카드(BC, 법인, 선불, 기프트카드 제외))

    이외에도 ‘보먹돼(전품목)’는 멤버십 특가로 최대 50% 할인, 미국산 프라임 척아이롤(100g)은 행사 카드로 결제 시 30% 할인하고, 농협안심한우(전품목/100g/홈플러스 온라인 제외)는 오는 5월 26일까지 멤버십 회원 대상 최대 반값에 준비했다.

    흑미 수박, 애플 수박 등 다양한 이색 수박과 연관 상품들을 할인가에 선보이는 ‘수박 유니버스’도 동기간 진행한다. 행사 카드로 결제 시 수박(전품목/통)을 각 5000원 할인가에 제공한다. 특히, 명품꿀당 12.5Brix 흑미 수박은 최고 당도가 12.5Brix로 일반 수박 대비 당도가 약 14% 높다. 중소과를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에 적합한 6~7kg 사이즈로 보관과 섭취가 용이하다. 담양, 영암, 함안 등 우수 농가 20여 곳을 확보해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 과정을 밀착 관리했으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확해 신선도를 높였다.빙그레 따옴바 수박(75mlX4입)과 롯데 수박바(80mlX6입)는 모두 제품 구매 시 하나씩 더 제공하며, 락앤락 수박용기(4종)도 저렴하게 판매한다. 더불어, 외식 물가가 폭등하는 상황 속 상승률이 높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이는 사이다 특가도 5월 23일(오늘)부터 7일간 열린다.

    델리 코너의 효자상품인 당당치킨(4종/통)도 할인 판매하며 멤버십 회원 대상 겉바속촉 당당 두마리옛날통닭(팩)은 오는 5월 24일 단 하루 만원 이하에, 대짜 핫스파이시후라이드치킨(팩, 홈플러스 온라인 제외)은 오는 5월 26일까지 만원 이하에 담아갈 수 있다.

    홈플식탁 통통유부초밥(9입)과 지금한끼 제육에그참치, 불고기크래미붉닭 유부초밥은 모두 멤버십 특가로 20% 할인한다. 김밥(5종)과 밀키트(30여종), 즉석떡볶이, 여름 시즌면(9종)도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인다.

    캠핑 시즌에 맞춰 캠크닉(캠핑+피크닉) 먹거리와 관련 용품도 같은 기간 부담 없는 가격에 내놓는다. 강원도돼지 간장∙고추장 불고기(800g/서귀포점 제외)는 멤버십 회원 대상 5000원 할인하고, 의령 햇 초당옥수수는 5개 만원 이하의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CJ 햄∙소시지∙베이컨(17종)은 1+1에, 세계맥주(90여종)는 5캔 만원 이하에 선보인다. 멤버십 회원이라면 더운 날씨에도 시원함이 오래가는 아이스박스∙쿨러백(20여종)은 20% 할인가에, 오자크 트레일 캠핑용품(전품목)은 최대 반값에 살 수 있다.

    이 밖에도 홈플러스는 오는 5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글로벌 주방·가전 리딩 브랜드 테팔과 함께 역대급 행사 ‘테사파(테팔 사고 파리가자)’를 진행한다. 본 행사에서는 테팔 조리용품 및 생활가전 전 품목을 최대 50% 할인하며, 주방·가전 상품 합산 구매 금액별 최대 3만원 상품권을 증정한다.  특히, 테팔 생활가전의 경우 홈플러스 단독 선 출시를 실시해 한 주 빠른 5월 23일(오늘)부터 할인가로 구매 가능하다.

    테팔 구매 고객 대상 영수증 응모 이벤트도 함께 실시한다. 참여 방법은 테팔 제품 3만원 이상 구매 영수증을 촬영한 후 테팔 공식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응모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선정된 1등 당첨자 2명에게는 파리 여행 상품권을 경품으로 제공한다.

    김상진 홈플러스 트레이드마케팅총괄은 “고물가 탓에 가정의 달이 걱정의 달로 불리고 있는 요즘, 고객의 장바구니 부담을 조금이나마 낮추기 위해 AI최저가격을 활용한 물가안정 프로젝트를 실시하게 됐다”라며 “물가 상승률이 높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사이다 특가, 나들이객 겨냥 메가 캠크닉 대전, 각종 이색 수박을 할인가에 내놓는 수박 유니버스 등 다양한 행사들도 동기간 함께 준비했으니 기분 전환되는 즐거운 쇼핑 되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홈플러스 델리, 당당치킨 인기와 함께 즉석조리 전문관으로 도약

    홈플러스 델리, 당당치킨 인기와 함께 즉석조리 전문관으로 도약

    과거 대형마트에서 델리는 저가 조리식품으로 인식됐으나, 지금은 핵심 상품으로 당당히 자리잡았다. 홈플러스(사장 조주연)에 따르면 당당치킨의 인기를 필두로 고객들의 발걸음을 불러들인 델리가 실적 턴어라운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에는 장을 보며 델리 메뉴를 함께 구매했다면, 최근에는 델리 메뉴를 구매하기 위해 일부러 마트를 방문하면서 장을 보는 등 대형마트의 성장에 있어 델리 경쟁력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됐다. 실제로 최근 6개월 간 홈플러스를 방문한 고객 10명 중 4명 이상은 델리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홈플러스가 지난 2022년 6월 물가안정 일환으로 선보인 당당(당일 조리, 당일 판매)치킨은 출시 500일을 훌쩍 넘었다. 당당치킨의 폭발적인 인기에 당당 시리즈로 라인업을 확대한 결과, 지난달 31일까지 누적 판매량 710만 팩을 돌파했다.

    델리 매출도 계속해서 증가했다. 당당치킨 히트 이후 홈플러스 델리를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면서다. 올해 1월 델리 매출은 2년 전 동기 대비 46% 증가했고, 당당치킨 출시 후 6개월간(2022년 6월 30일~12월 29일) 델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홈플러스 델리는 발전을 거듭해 고객들의 식사를 책임지는 즉석조리 전문관이 됐다. 한식, 중식, 일식, 양식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델리 메뉴를 한 자리에서 쇼핑할 수 있다. 맛과 품질도 올렸다. 메뉴 하나를 출시하기 위해 매주 수차례 회의와 수십 번의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 고객 설문 조사를 통해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고, 트렌드에 맞는 신메뉴도 지속적으로 내놓는다.간편함을 돈으로 사는 소비 행태인 레이지 이코노미(Lazy Economy) 현상도 델리 인기에 한몫했다. 귀찮은 조리 과정을 생략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기 떄문이다. 밥 한끼 사먹기가 망설여지는 고물가 시대에 고객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합리적이고 저렴한 가격 또한 큰 강점이다.

    여러 종류의 후라이드 메뉴를 맛볼 수 있는 당당 시리즈를 포함해 델리 브랜드도 다양화했다. 오늘 만든 신선하고 맛있는 델리로 매일 식탁을 다채롭게 하는 홈플식탁, 속을 꽉 채워 든든하게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든든 시리즈, 1~2인 가구를 겨냥한 소용량 메뉴 지금한끼, 고시히카리 쌀 100%와 얼리지 않은 신선한 재료로 만드는 고백스시까지 각기 다른 고객들의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브랜드를 빈틈 없이 채웠다.

    김상진 홈플러스 트레이드마케팅총괄은 “당당치킨 인기와 함께 홈플러스 델리도 발전을 거듭하며 맛, 품질, 가격을 모두 잡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 결과 즉석조리식품에 대한 모든 것을 찾아볼 수 있는 전문관으로 도약하고 있다”며 “맛과 가성비에 대한 고객의 눈높이가 점점 올라가는 상황에서 면밀한 고객 조사를 거쳐 최적의 메뉴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