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네이밍

  • 지그재그, 7월 뷰티 최고 거래액 달성…구매자 수도 최대치

    지그재그, 7월 뷰티 최고 거래액 달성…구매자 수도 최대치

    카카오스타일(대표 서정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는 뷰티 카테고리인 ‘직잭뷰티’가 올해 7월 월간 최대 거래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171%) 성장한 수치다. 올해 6월 거래액과 비교해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을 정도로 7월 한달 간 거래액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구매자 수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7월 한 달간 뷰티 상품 구매자 수는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재구매 고객과 첫 구매 고객 모두 전년 대비 각각 160%, 63% 증가하는 등 지그재그에서 지속적으로 뷰티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과 신규로 유입된 고객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7월 한 달간 상품 노출 수, 클릭 수, 구매 전환율 등 주요 지표에서 모두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지그재그는 1030 여성 타깃 고객에 최적화된 단독 상품을 확대하고, 뷰티에 특화된 콘텐츠와 기획전, 가격적 혜택 등을 제공한 점이 온라인 시장 내 직잭뷰티의 영향력 확대에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지그재그는 뷰티 브랜드와 협업해 단독 구성 상품을 선보이는 ‘엠디픽’ 코너에 ‘오픈런’ 혜택을 신설했다. 엠디픽 코너에서 판매중인 각 상품별 선착순 100명에게 매일 30% 쿠폰을 제공하는 식이다. 오픈런 쿠폰 효과 등으로 7월 엠디픽 거래액은 전월 대비 1.5배 늘었다.

    폭넓은 셀렉션에 할인 혜택을 더한 ‘뷰티 페스타’ ‘여름 블랙프라이데이’ 등의 대형 프로모션 역시 직잭뷰티의 거래액 성장을 이끌었다. 이 외에도 ‘스킨푸드’ ‘라운드랩’ ‘에뛰드’ ‘토리든’ 등 주요 뷰티 브랜드의 인기 상품을 데일리로 소개한 라이브 방송 및 원데이 프로모션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브랜드 성장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에스쁘아'(159%) ‘바닐라코'(132%)는 지그재그에서 신규 고객 층을 확장하며 7월 거래액이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색조 브랜드 ‘퓌’는 7월 라이브 방송과 단독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거래액이 17배 이상(1628%) 폭증했으며, 인디 메이크업 브랜드 ‘네이밍’과 ‘포렌코즈’도 각각 111%, 334% 늘었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지그재그에서만 볼 수 있는 단독 뷰티 상품과 매일 제공하는 풍성한 혜택으로 신규 고객과 재구매 고객 모두 증가하며 월 최고 거래액을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만족도 높은 쇼핑 경험을 통해 온라인에서 뷰티 상품을 구매할 때 지그재그를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도록 계속해서 서비스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프 기간 SMB 매출 평균 97% ↑

    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프 기간 SMB 매출 평균 97% ↑

    카카오스타일(Kakao Style, 대표 서정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지난 11월부터 이달 초까지 진행한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SMB(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스토어의 매출 성장이 도드라졌다.

    지그재그는 지난 11월 20일부터 12월 4일까지 연중 최대 규모 할인 행사인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국내 대표 쇼핑몰부터 패션, 뷰티, 라이프 브랜드까지 대거 참여한 결과 거래액 1,000억원을 달성했다. 올해는 대형 쇼핑몰이나 대기업 브랜드는 물론이며, SMB 스토어의 매출까지 크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매출이 5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인 쇼핑몰 중 프로모션에 참여한 쇼핑몰 404곳의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매출은 직전 2주 대비 평균 2배(97%) 증가했다. 특히 누적 매출 50 0만원 이상에서 1,000만원 이하 구간에 속한 쇼핑몰의 매출은 평균 14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쇼핑몰 아헨은 프로모션 기간 매출이 전주 대비 758%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쇼핑몰 베데떼의 매출은 프로모션 전주와 비교해 561% 늘었고, 쇼핑몰 컷아웃(580%), 잇츠밤비(571%), 리즈닝(572%)도 블랙프라이데이 직전 대비 매출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쇼핑몰별 즐겨찾기 수도 평균 64% 늘어났다. 즐겨찾기 수 증가는 장기적으로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충성 고객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브랜드 카테고리에서도 인디 브랜드(대기업 브랜드가 아닌 독자적인 개성과 경쟁력을 가진 새로운 브랜드)의 성장이 돋보였다.

    패션 브랜드 인사일런스 우먼은 프로모션 기간 매출이 직전 2주 대비 5배 이상(411%) 증가했고, 브랜드 홈 방문자 수 230%, 상품 찜 수는 268% 늘었다. 콜릿과 시야쥬 매출도 각각 232%, 301%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방 브랜드 중에는 레더리(192%), 이너웨어 브랜드로는 베리시(181%)가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뷰티 분야 인디 브랜드의 매출은 평균 2.6배 신장했다. 특히 립 카테고리가 고객들의 큰 관심을 얻으며 브랜드 네이밍의 매출이 프로모션 전보다 751%, 릴리바이레드는 42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너뷰티 분야에선 비브리브가 억대 매출을 달성하며 급속도로 성장했으며, 스킨케어 브랜드 토리든, 아임프롬, 비플레인 등의 매출이 최대 8,000% 폭증하며 성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라이프 카테고리에서는 빅히트 상품이 등장하기도 했다. 풀리오 종아리 마사지기 매출은 직전 2주 대비 117배(11,697%) 폭증하며 특가 코너 매출 1위에 올랐다. 가전 브랜드인 쿨린(908%), 보다나(42 8%), 오아(359%) 역시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홈·리빙 분야에서도 우수한 SMB 제품이 인기를 끌며 바디럽(3,652%), 믹스앤매치(526%)의 매출이 급증했다. 여행용품 분야에서는 브라이튼몰의 매출이 프로모션 이전 대비 2,51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큐레이션 능력, 제품 경쟁력 등을 갖고 있으나 많은 고객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SMB 스토어가 일년 중 고객들의 관심이 가장 집중되는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까지 입증했다”며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진데다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 있는 제품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SMB 스토어 제품이 선택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