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매출

  • 무신사, 2023년 40% 성장해 매출 1조 육박 ‘온·오프라인 균형 발전’

    무신사, 2023년 40% 성장해 매출 1조 육박 ‘온·오프라인 균형 발전’

    무신사(대표 조만호)가 온·오프라인 패션 시장에서 고른 성장세를 바탕으로 지난해 연 매출이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2023년 하반기부터 국내 패션 시장이 다소 침체된 상황에서도 연 매출이 약 1조원에 달하는 성장세를 기록한 무신사는 최근 마무리한 조직 개편을 바탕으로 올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성장의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무신사는 최근 2023년 회계연도 외부 감사를 마무리한 결과, 별도 기준 매출액이 약 88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온라인 패션 시장 규모가 4.45% 성장한 것과 비교했을 때에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준 것으로 분석된다. 무신사 별도 기준 내에는 온라인 플랫폼인 무신사, 29CM를 비롯해 글로벌 비즈니스와 자체 브랜드(PB)인 ‘무신사 스탠다드’ 실적이 포함된다.

    무신사의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약 3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40% 감소했다. 다만 이는 올해초 임직원들에게 지급한 RSU(양도제한조건부주식)에 따른 비용 계상 효과로 주식 보상 비용이 2023년 약 3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2% 증가한 영향이 컸다. 임직원에 대한 주식 보상 비용이 대거 발생했지만, 일시적인 비용으로 올해부터는 일회성 지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23년 별도 기준으로 1,042억 원이다. 무신사 별도 기준 EBITDA 마진율은 12%로 건실하게 이익 성장하고 있다. 또 2022년 당기순손실 67억 원에서 지난해에는 약 355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흑자전환에도 성공했다.

    무신사를 비롯해 종속기업까지 아우르는 연결 기준으로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9931억 원으로 전년보다 약 40.2% 증가해 1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 기준으로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도 2022년 724억 원에서 2023년 839억 원으로 15.9% 늘었다.

    다만 지난해에 무신사 본사 및 관계사 임직원에 지급된 일회성 주식보상비용 413억 원을 비롯해 △인재에 대한 투자로 인한 인건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 거래액 확대에 따른 결제 대행을 포함한 지급수수료 증가 등의 영업비용이 늘어나 약 86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한정판 플랫폼 ‘솔드아웃’을 운영하는 자회사 에스엘디티(SLDT)는 2022년 420억 원 이상이었던 영업적자를 지난해에 288억 원까지 줄였다.

    무신사는 신사업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브랜드 비즈니스를 비롯해 오프라인 확장, 글로벌 진출, 한정판 플랫폼 ‘솔드아웃’ 등에서 체계적인 계획하에 비용 효율적인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2023년말 기준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4200억 원 가량을 보유하고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과 수익 창출을 만들어 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패션 시장이 급변하는 가운데에서도 무신사는 최근 3년간 연평균 40% 이상의 매출 신장세를 기록하며 견고하게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라며, “올해는 무신사와 29CM, 무신사 스탠다드, 글로벌 등의 핵심 사업 영역에서 안정적인 기반을 다진 후 지속 가능한 성장과 수익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스타일, 2023년 매출 62% 상승 ‘지그재그’ 연간 흑자 전환

    카카오스타일, 2023년 매출 62% 상승 ‘지그재그’ 연간 흑자 전환

    카카오스타일(Kakao Style, 대표 서정훈)은 9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2% 성장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카카오스타일이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1650억 원을 기록했다. 카카오스타일의 매출은 2021년 652억 원(전년 대비 109% 신장), 2022년 1018억 원(전년 대비 56% 신장)으로 매해 큰 폭의 성장을 이어왔다.

    고물가, 저성장이 지속되는 경제 상황 속에서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도 연간 영업손실액은 198억 원으로 2022년(518억 원) 대비 320억 원 감소했다.

    대표 서비스인 ‘지그재그’의 비용 구조를 효율화하는데 성공하며 지그재그 플랫폼은 연간 영업이익 흑자로 전환했다. 지그재그의 영업이익 흑자는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카카오스타일은 신사업 투자로 인해 전사 기준 영업 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40대 이상의 시니어 시장에서 또 다른 ‘지그재그’를 만들기 위해 신사업 ‘포스티(posty)’ 등에 투자를 진행하며 손실이 생긴 것. 포스티는 연간 2배 이상의 성장률(150%)을 이어가고 있으며 작년 거래액 1천억 원 수준을 달성하기도 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기반한 마케팅 비용 효율화 및 최적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재무 구조를 정립한 것이 실적 개선에 주효했다. 주문 후 배송까지 수일이 걸리던 동대문 사입 시장에 도입한 빠른 배송 서비스 ‘직진배송’이 성장하며 동대문 배송 혁신을 이뤄낸 점도 실적 개선에 이바지했다. 이외에도 패션, 뷰티, 라이프, 푸드 등 카테고리 확장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올해 들어 흐름도 긍정적이다. 올해 1분기 지그재그 전체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직진배송과 브랜드 카테고리 거래액은 각각 60%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포스티 거래액도 81% 급증했다.

    김영길 카카오스타일 CFO는 “지난해 비용 효율화를 통해 지속해서 이익을 낼 수 있는 건강한 재무 구조를 정립했고, 이를 통해 외형 성장과 동시에 수익성을 드라마틱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며 “현재 흐름이라면 올해는 작년 수준을 뛰어넘는 거래액, 매출 성장률과 의미 있는 흑자 규모를 충분히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쌓아온 기술력과 마케팅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지그재그’와 ‘포스티’를 양축으로 1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아우르는 여성 패션 ‘원톱’으로서 자리를 공고히 하며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에이블리, 작년 매출 2595억∙영업이익 33억…‘역대 최대 실적’

    에이블리, 작년 매출 2595억∙영업이익 33억…‘역대 최대 실적’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이 3년 연속 매출 역대 최고 기록과 동시에 에이블리 론칭 이래 첫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감사보고서를 통해 매출 2595억, 영업이익 3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45% 증가하면서 3년 새 무려 390%(4.9배) 성장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2022년 744억 원 영업손실을 극복하고 흑자 전환했다.

    에이블리는 ‘계획된 적자’를 끝내고 완벽한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 최근 에이블리 실적은 2020년 매출 526억 원·영업손실 384억원, 2021년 매출 935억원·영업손실 695억원, 2022년 매출 1785억원·영업손실 744억원 등이다. 외형이 커지면서 적자 폭이 늘었지만 2023년 내실 있는 외형 성장을 이끈 것이다.

    에이블리는 비 패션(뷰티, 디지털, 라이프, 푸드 등 패션 외 영역) 카테고리가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에이블리 셀러스’(오픈마켓 형식)가 속한 ‘서비스 매출’은 1332억원으로 전년(668억 원) 대비 2배가량 증가했다.

    소호 패션 외 뷰티, 디지털, 라이프, 푸드 등 성공적인 카테고리 확장을 통해 신규 입점 마켓 및 해당 거래액이 급증한 것이다. 상품 매출은 매년 1000억 원 이상의 견고한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1263억원으로 전년(1116억 원) 대비 13% 늘었다. 풀필먼트 솔루션 ‘에이블리 파트너스’가 실적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블리 2022년 광고선전비는 437억원에서 2023년 229억 원으로 비용 효율화에 성공했다. 다년간 축적한 비즈니스 노하우와 업계 최대 규모 고객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ROAS(광고비 대비 매출액) 신장이 성과를 견인했다. 지난해 에이블리 ROAS는 1133%로 대폭 증가했다.

    2021년 ROAS 246%, 2022년 408% 대비 ROAS가 향상된 것이다. 이는 무리한 비용 절감으로 성장을 포기한 것이 아닌 비용을 효율화하면서 성공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한 것을 의미한다.

  • 까스텔바작, 3분기 경기침체 돌파…‘경영효율화’ 적중!

    까스텔바작, 3분기 경기침체 돌파…‘경영효율화’ 적중!

    까스텔바작(대표 최준호)이 경영효율화로 올 3분기까지 수익성은 크게 상승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올 3분기까지 까스텔바작의 개별 영업이익은 3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또한 누적 개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4% 성장한 14.6억 원을 기록했다.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투자가 단행된 가운데서도 수익성 강화로 상승세를 이어간 셈이다. 반면, 극심한 경기침체에 주목해 하위 매장을 과감히 정리하고 재고 부담을 덜기 위한 품목 수 조정 등과 같은 경영효율화 정책에 따라 매출은 감소해 334억 원의 실적을 나타냈다.

    다만, 까스텔바작이 중장기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브랜드 재정비에 나서고 있어, 2024년부터는 신규고객 확보와 판매촉진을 통한 안정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미 군납시장 진출을 필두로 한 글로벌 시장 공략 성과도 가시화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까스텔바작 관계자는 “극심한 경기 침체 속에서도 경영효율화로 수익성이 크게 강화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중장기적 성장동력 확보에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가시화된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까스텔바작은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트렌드가 반영된 소재 및 디자인 재정비에 들어갔으며, 동시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공식 스폰서로서 선수 지원과 매니지먼트 등 스포츠마케팅 활동에 힘쓰고 있다. 또한 미국을 비롯해 동남아 시장 진출까지 결정돼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 이마트, 3분기 영업이익…지난해 52억 증가한 1102억원 기록

    이마트, 3분기 영업이익…지난해 52억 증가한 1102억원 기록

    이마트는 14일 공시를 통해 지난 3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52억 (약 5%) 증가한 1,10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2% 감소한 4조4,386억원. 이마트 별도 영업이익이 성장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만이다.

    이마트는 물가 안정 기여 연중 프로젝트 ‘더 리미티드’ 등 고객 관점의 ‘상품 혁신’과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점포 리뉴얼’, 수익성 개선 노력에 따른 비용 효율화 등이 ‘본업 경쟁력 강화’에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구조 재편 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94억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누계 영업이익 285억원을 기록했다. 이외에 객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할인점은 지난 2분기(5.5%)에 이어 3분기에도 객수가 5.8% 늘어났으며, 트레이더스는 1분기(1.3%), 2분기(3.2%)에 이어 3분기에는 6.2% 증가했다.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추가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반면 연결 기준 실적은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이 아쉬웠다.

    이마트의 연결 기준 3분기 순매출액은 7조7,096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22억원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228억 감소한 779억원을 기록했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원가 부담 증가로 인해 신세계건설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551억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마트는 향후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신규 출점과 리뉴얼 등을 통한 외형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수익성 강화에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3사의 기능을 통합, 매입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3사 One대표 체제’의 시너지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편, 4분기에는 쓱데이와 개점 30주년 기념행사 등 이마트가 공들여 준비한 연말 대형 행사가 이어져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마트는 “3분기에는 고객 관점에서의 상품 혁신과 점포 리뉴얼이 큰 폭의 객수 신장으로 이어지는 등 본업 경쟁력이 회복되는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다”며, “오프라인 3사의 기능 통합을 본격화하고 구조적 쇄신 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롯데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매출 급증

    롯데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매출 급증

    롯데백화점이 9월11일부터 진행하고 있는 추석 선물세트 본 판매 행사의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최장10일간의 황금 연휴로 인해 추석 선물세트를 미리 준비하는 고객이 증가하면서 본 판매 초기에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롯데백화점이 지난 9월11일부터 18일까지 8일간 진행한 추석 선물세트 본 판매 행사의 매출은 전년대비 81.3% 신장했다. 상품군 별로는 건강 75.5%. 축산 83.5%, 청과 81.9%, 수산 83.3% 등 모든 상품군에 걸쳐 고르게 신장했다. 롯데백화점이 지난 8월 8일부터 9월 10일까지 진행한 사전 예약판매의 매출도 36.1% 신장했다.

    롯데백화점이 8일간 진행한 본 판매 행사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선물세트 상품군은 건강 상품군으로 이어서 축산, 가공식품 및 생필품, 청과, 수산 순으로 판매됐다. 상품군 별로는 프리미엄 선물세트와 5만원 이하 선물세트의 수요가 증가하는 양극화 트렌드를 보였다. 가장 많이 판매된 선물세트의 가격대는 건강 10~20만원대, 축산 20~35만원대, 청과 7~10만원대, 수산 20~25만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기대 롯데백화점 식품부문장은 “추석 연휴가 길어지면서 명절 선물세트를 미리 준비하는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명절 선물세트 본 판매 행사의 매출이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남은 기간에도 행사 초반의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어지도록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