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정보 플랫폼 잡플래닛(대표이사 황희승∙윤신근)이 직장인 연봉 데이터를 분석해 공개했다. 잡플래닛 측은 연말 연초 인사 시즌을 앞두고 추후 연봉 협상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2022년 3분기까지 들어온 연봉 데이터를 분석해 연차와 직무에 따른 연봉 추이를 공개했다.
1년차 평균 연봉 3396만원∙∙∙상위권은 6년차에 6000만원 돌파
이제 갓 입사한 사회 초년생, 1년 차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은 3396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위 25%의 평균 연봉은 2800만원, 상위 10%의 평균 연봉은 4500만원 선이었다. 직장인들의 연봉 차이가 크게 벌어지기 시작하는 때는 5년 차다. 5년 차 평균 연봉은 4384만원이지만, 하위권은 3600만원으로 여전히 3000만원대에 머물렀다. 반면 상위권은 5800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평균적으로 연봉 5000만원이 넘어서는 때는 언제일까. 8년 차로 나타났다. 이들은 평균 5042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이 때 상위권은 6500만원으로 벌써 6000만원을 훌쩍 넘어섰다.
12년 차가 되면 평균 6053만원으로 6000만원을 넘긴다. 상위권은 이미 7800만원으로 8000만원 가까이 연봉을 받았으나 하위권은 5100만원으로 가까스로 5000만원을 넘겼다.
연봉 높은 직무는? 금융ㆍ재무>경영ㆍ기획ㆍ컨설팅>…디자인>서비스ㆍ고객지원
사실 연봉을 결정하는 큰 요인 중 하나는 ‘하는 일’ 즉 직무다. 어떤 직무의 직장인이 가장 높은 연봉을 받고 있을까? 돈을 다루는 ‘금융/재무’ 직무가 4966만원으로 가장 높은 평균 연봉을 기록했다. 다만 하위권과 상위권 간의 연봉 차이가 가장 큰 직무이기도 했다.
하위 25%의 평균 연봉은 3500만원으로 ‘연구개발’ 하위권(3600만원)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상위권 평균은 6000만원으로 독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금융ㆍ재무’는 그 어떤 직무보다 회사나 연차에 따라 연봉 수준이 천차만별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밖에 ‘경영ㆍ기획ㆍ컨설팅'(평균 4667만원, 하위 3400만원, 상위 5500만원) ‘연구개발'(평균 4636만원, 하위 3600만원, 상위 5500만원) ‘ITㆍ인터넷'(평균 4629만원, 하위 3400만원, 상위 5500만원) ‘엔지니어링'(평균 4502만원, 하위 3500만원, 상위 5300만원) ‘영업/제휴'(평균 4470만원, 하위 3500만원, 상위 5015만원) 순으로 평균 연봉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