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메타버스

  •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의 결합…‘모드 엣 방콕’ 성수 팝업 오픈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의 결합…‘모드 엣 방콕’ 성수 팝업 오픈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이너 브랜드와 함께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의 결합으로 신개념 패션쇼를 선보였던 ‘모드 엣 방콕’이 오는 11월 22일, K-패션의 성지 성수동에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이 주관하는 ‘모드 엣 방콕(MODE @Bangkok)’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와 함께 추진하는 K-패션 지원사업인 ‘모드(MODE, Metaverse Outstanding Designers Experience with fashion)’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왼쪽부터) 두칸, 라이, 분더캄머

    ‘모드 엣 방콕’은 지난 10월, 태국 방콕 사암파라곤에서 열린 패션쇼를 통해 국내 10개 디자이너 브랜드의 2024 FW 컬렉션을 성황리에 선보였다. 함께 해당 컬렉션을 가상 세계에서 동일하게 볼 수 있는 ‘모드 엣 제페토’ 메타버스 쇼룸의 경우 공개 1달동안 142만 명이 방문해 K-패션의 세계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모드 엣 방콕’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는 성수동 퓨처소사이어티쇼룸 1층에서 11월 22일(금)부터 24일(일)까지 3일간 진행, 국내 소비자들은 물론 성수동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들에게 K-패션의 매력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왼쪽부터) 비건타이거, 유가당, 줄라이칼럼

    성수 팝업스토어에서는 ‘모드 엣 방콕’ 프로젝트에 참여한 10개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두칸, 라이, 분더캄머, 비건타이거, 유가당, 줄라이칼럼, 키셰리헤, 하플리, 한나신, 홀리넘버세븐)의 2024 FW 컬렉션을 직접 착용해보고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쇼룸에서 볼 수 있었던 콘텐츠를 실제로 경험하게 하는 것은 물론, 팝업 기간 동안 진행되는 브랜드 별 세일 혜택을 통해 더욱 즐거운 구매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왼쪽부터) 키셰리헤, 하플리, 한나신, 홀리넘버세븐

    한편, ‘모드 엣 방콕’은 성수동 팝업스토어 오픈과 더불어 패션 플랫폼 W컨셉을 통해 오는 11월 30일(토)까지 온라인 팝업을 운영한다.

  • LF 헤지스, 메타버스서 ‘잉글리시 가든’ 팝업 스토어 연다

    LF 헤지스, 메타버스서 ‘잉글리시 가든’ 팝업 스토어 연다

    LF(대표 오규식 김상균)의 트래디셔널 캐주얼 브랜드 헤지스(HAZZYS)가 메타버스 플랫폼 ‘ZEP’에서 프리폴(Pre-Fall) 컬렉션 ‘잉글리시 가든(English Garden)’ 팝업 스토어를 연다.

    9월 한달 간 메타버스 ‘ZEP’에서 열리는 ‘잉글리시 가든’ 팝업 스토어에서는 나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잉글리시 가든 정원을 구석구석 탐험하며 헤지스의 브랜드 역사부터 FW 시즌 컬렉션 아이템 등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헤지스 브랜드에 대한 퀴즈 참여, 다른 유저들과 자유로운 대화를 나누는 등 쌍방향 네트워킹도 가능하다.메타버스 잉글리시 가든 정원을 돌아다니며 보이는 마네킹 클릭 시 관련 화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획득한 아이템으로 옷장을 완성하면 헤지스닷컴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와 할인 쿠폰 등을 지급한다. ZEP 팝업 공간에서 얻은 혜택으로 헤지스닷컴에서 ‘잉글리시 가든’ 컬렉션을 구매하면, 추첨을 통해 특별한 경품도 제공한다.

    헤지스 관계자는 “내년 25주년을 맞는 헤지스는 모든 연령대가 함께 즐기는 패밀리 브랜드로서 미래 잠재 고객인 1020대 젊은 고객들과의 소통 기회와 접점을 지속 확대해 왔다”며 “디지털 친화적인 해당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고려한 흥미로운 팝업 공간을 통해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컬렉션을 새롭게 소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헤지스의 메타버스 마케팅은 이번이 두번째다. 지난해에는 소셜 메타버스 플랫폼 ‘인사이드(INSIDE)’에 브랜드 고유의 ‘헤리아토’ 패턴을 테마로 한 헤지스룸을 오픈하고 브랜드 마스코트인 잉글리쉬 포인터 아바타로 소통할 수 있는 브랜드룸을 가상 공간에 개설한 바 있다.

  • 아시아 대표 디지털 테크토크 ‘2024 서울메타위크’ 오늘 개막

    아시아 대표 디지털 테크토크 ‘2024 서울메타위크’ 오늘 개막

    TV조선(대표 주용중)과 크리스앤파트너스(대표 나서정)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아시아 대표 디지털 테크토크, ‘2024 서울메타위크’가 오늘 6월 26일 개막했다.

    ‘기술의 파도를 항해하라: Ride the Waves of Technology’라는 주제 아래, AI(인공지능)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의 혁신 방향과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고, 기업과 개인이 직면한 도전과 미래 비전에 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1일차인 오늘 6월 26일은 ‘AI 내일을 설계하다: AI Shaping Tomorrow’s World’를 타이틀로 전세계적 메가트렌드인 AI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자요티카 모한 구글 클라우드 GenAI 스페셜리스트, 정민영 SK텔레콤 AI플랫폼 부사장, 아비나쉬 마다수 인텔 AI 연구 엔지니어, 린한 게이트아이오 창립자 및 CEO, 김선욱 엔비디아 기술 마케팅 상무 등의 세션이 저녁 6시까지 계속 이어진다.

    2일차인 6월 27일 목요일에는 웹3, 메타버스, 크립토의 미래(What’s Next? Exploring Web3, Metaverse, and Crypto Futures)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막심 레파로프 스포티파이 선임 머신러닝 엔지니어, 린 응우옌 큐브 COO,  윤진현 KT 미디어플랫폼사업본부 상무 등이 참여해 관련분야 최신 트렌드 및 기술 공유를 위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오디토리움 로비에서 진행되는 전시 프로그램에는 게이트아이오(Gate.io), ICP HUB Korea, 퓨쳐버스(Futureverse), 토큰포스트(TOKENPOST), 문샷(Moonshot) 등 AI와 메타버스, NFT 등 시대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기술 및 서비스를 참여형 부스를 통해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품을 증정하는 현장 참여 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이다.

    내일까지 진행되는 ‘2024 서울메타위크’ 사전등록은 마감됐으나, 행사장에 마련돼 있는 등록데스크에서 현장등록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메타위크 공식 홈페이지(https://seoulmetaweek.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워프코퍼레이션, 더 샌드박스와 함께 ‘신태용’ 컬렉션 출시

    워프코퍼레이션, 더 샌드박스와 함께 ‘신태용’ 컬렉션 출시

    스포츠 마케팅 기업 워프코퍼레이션(대표 함정수)이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와 함께 한국-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태용 감독의 아바타 컬렉션 ‘The STY’를 출시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연결고리인 신태용 감독의 과거와 현재의 축구 인생을 표현한 The STY는 신태용 감독 본인만의 특징을 살리면서 양국 축구 문화의 매력을 담아냈다. 선수 시절 K리그 최초로 60-60 클럽을 달성한 K리그 레전드 신태용은 2018 러시아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거쳐 현재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STY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신태용 감독은 글로벌 스포츠 팬들이 즐길 수 있는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을 위해 지난 2022년 워프코퍼레이션과 메타버스 IP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워프코퍼레이션은 더 샌드박스와 함께 신태용 감독의 IP를 활용해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등 모든 활동을 담당하여 진행했다.이번 아바타 컬렉션은 더 샌드박스에서 처음으로 인도네시아 팬들을 위해 제작했으며 총 1,560개로 구성돼 있다. 헤이민트(Heymint)를 통해 지난 1월 9일부터 오는 1월 15일까지 아바타를 예약한 사전 예약자에겐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며, 이후 오는 1월 17일부터는 더 샌드박스 내 신태용 아바타 컬렉션 랜딩 페이지를 통해 판매한다.

    콘텐츠 개발 과정에 참여한 신태용 감독은 국내 및 인도네시아 축구 팬들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The STY 컬렉션 구매자는 추첨을 통해 신태용 감독 사인 유니폼과 인도네시아 A매치 티켓 등을 얻을 수 있다. 추후 더 샌드박스에서 공개되는 Play STY Festival 경험에서 신태용 아바타로 플레이할 경우 추가 보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태용 감독은 “축구 선수, 그리고 축구 감독으로서의 제 이야기를 담은 아바타를 선보이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고 했으며, 워프코퍼레이션 함정수 대표는 “이번 아바타 컬렉션은 축구 팬분들이 주신 성원에 보답하고 인도네시아 축구의 매력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

    더 샌드박스 코리아 이승희 대표는 “한국을 넘어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신태용 감독님의 아바타를 출시하게 되어 기쁘다”며 “신태용 아바타의 컬렉션 출시 기념으로 축구 팬들을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 콘진원, 메타버스 제페토 팝업 ‘모드 엣 서울’ 성료

    콘진원, 메타버스 제페토 팝업 ‘모드 엣 서울’ 성료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해외 진출 사업 모드 엣 제페토의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모드 엣 서울’을 지난 12월 1일부터 12월10일까지 잠실 롯데월드몰 1층 아트리움 광장에서 운영했다.

    콘진원은 국내 패션사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네이버제트의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ZEPETO)와 함께 ‘모드 엣 제페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10월에는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 10팀과 버추얼 쇼룸 및 2023 FW 컬렉션을 공개해 모드 엣 제페토 가상 런웨이 쇼에 총 320만 명의 유저가 방문했다. 그중 인도네시아 태국 일본 미국 등 상위 10개국의 해외 고객이 95%에 달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이 점에 대해 네이버제트의 이예전 글로벌 파트너십 총괄은 “올해 중 해외 유저 방문이 가장 높은 프로젝트로 K-콘텐츠에 이어 K-패션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높은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런웨이Z를 운영하는 브레이브 터틀스 케빈 킴 대표는 “모드 엣 제페토의 성공은 메타버스가 글로벌 고객 대상 마케팅 채널로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모드 엣 서울은 가상세계에서만 경험할 수 있었던 디자이너 브랜드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을 오프라인으로 구현한 팝업스토어다. 모드 엣 제페토에 참여했던 디자이너 브랜드 10팀과 신진 디자이너 3팀이 참여했으며, 열흘간 약 3만 명이 방문해 오프라인에서도 그 열기를 이어갔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제페토관, 브랜드관, 엑셀러레이팅 F관 등 세 개의 공간으로 구성해 모드 엣 제페토 내 브랜드 쇼룸과 런웨이 무드를 현실로 구현했다.제페토관은 기준, 노앙, 뮌, 분더캄머, 비건타이거, 석운 윤, 오디너리피플, 아이아이, 클럿스튜디오, 키셰리헤 등 10개 디자이너 브랜드 쇼룸과 런웨이 포토존으로 꾸며졌다. 특히 런웨이 포토존에서는 고객이 선호하는 브랜드의 옷을 입고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제페토앱 내 패션쇼 콘텐츠 런웨이Z와 연계해 포토부스 이벤트도 진행했다.

    브랜드관에서는 입점 브랜드별 할인 및 사은 이벤트 브랜드 데이를 진행했다. 기준, 노앙과 같은 인기 디자이너 브랜드에는 매장이 열리기도 전에 줄을 서는 등 K-패션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엑셀러레이팅 F관은 콘진원의 신진 패션디자이너 발굴 프로젝트인 엑셀러레이팅 F에서 수상한 본봄, 닙그러스, 키모우이 등 3개 브랜드의 쇼룸으로 구성됐다.기준의 김현우 디자이너는 “가상공간인 제페토와 롯데월드몰을 결합해 더 많은 고객에게 브랜드를 소개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라며 참여 소감을 드러냈다.

    콘진원 지경화 한류지원본부장은 “모드 엣 서울의 성공에 힘입어 2024년에는 패션의 중심지 파리에서 진행할 예정”이라며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앞으로도 신기술융합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와 방법을 고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콘진원은 모드 엣 제페토 2024 SS 시즌에 참여할 국내 패션 브랜드를 18일까지 모집하고 있다. 모드 엣 제페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 한국콘텐츠진흥원 ‘더 어울림(Oulim) in 도쿄’ 개최

    한국콘텐츠진흥원 ‘더 어울림(Oulim) in 도쿄’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이 주관하는 신기술융합콘텐츠 글로벌 페스티벌 ‘더 어울림(Oulim) in 도쿄’가 오는 12월 14일부터 12월 25일까지 도쿄 아키하바라 아키바 스퀘어에서 열린다.

    더 어울림은 국내 대표 콘텐츠 IP와 신기술이 융합된 콘텐츠를 선보이는 행사다. 올해 스웨덴 스톡홀름을 시작으로 영국 런던을 거쳐 이번 일본 행사를 마지막으로 일정을 마무리한다.

    더 어울림 in 도쿄는 한일 양국의 콘텐츠산업 교류 활성화와 K-콘텐츠의 새로운 판로개척을 위해 ‘미래를 향한 공존’을 주제로 AI, VR, 메타버스, NFT(블록체인) 등 신기술이 융합된 다양한 콘텐츠로 6개 세션을 구성한다.

    첫 번째 세션 Global Influence는 신기술과 융합한 K-POP과 K-OTT 콘텐츠 IP를 전시한다.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LASVEGAS 영상, 에이스토리와 더 샌드박스 코리아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메타버스 게임 및 1천여 종의 NFT, 달콤소프트의 리듬게임 SUPERSTAR, 아더월드의 나 혼자만 레벨업 : 언리미티드 콘텐츠, 라이터스컴퍼니의 K-POP 플랫폼 쿠키(KOOKY) 등이다. 특히 달콤소프트는 현장에서 한정판 포토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두 번째 세션 Virtual Rhythms, Real Impact에서는 VR, AI, 메타버스 등 디지털 콘텐츠를 다룬다. 로커스 엑스의 버추얼 휴먼 로지를 비롯해 펄스나인의 가상 아이돌 이터니티, 버시스의 메타버스 음악 애플리케이션 메타 뮤직 시스템, 더투에이치의 리얼리티 커넥티드 게임 하이퍼스페이스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세 번째 Creative Fusion 세션에서는 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한 플라스크의 AI 애니메이션 자동화 솔루션 COMIX, 에이아이바의 웹 기반 커스텀제품 제작 플랫폼 T4U.SHOP, 크리에이티브마인드의 AI 음악 창작 서비스 MUSIA 등 AI 기술 관련 콘텐츠 저작도구 및 결과물을 볼 수 있다.

    네 번째 세션 Time Collision은 한국의 전통과 역사, 자연을 현대 기술력으로 표현한 미디어아트를 LED 스크린을 통해 선보이며, 다섯 번째 세션 The New Art Frontier에서는 더문랩스가 28명의 작가(신사마, 노아, 케지민, 이강민 폴릭, 남지현 등)와 함께한 NFT 작품을 전시한다.

    마지막 세션 Digital Canvas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왕의 행차, 백성과 함께하다와 버스데이(VERSE DAY)의 The Origin: ALBERT, 국립국악원의 종묘제례악 등 우리나라 전통문화와 한국적 색채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10여 종을 선보인다.

    콘진원 조현래 원장은 “일본 내 신기술융합콘텐츠 진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진행하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양국의 콘텐츠산업 발전과 진흥을 위해 힘쓰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