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3일(수) 개막하는 Kiaf SEOUL 2025에서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이 진행된다. 한·일 양국의 큐레이터와 작가들이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시점에 한자리에 모여, ‘수집’과 ‘진열’이라는 예술의 근본적인 형식에 대해 새로운 시선을 제안한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Kiaf SEOUL은 현대미술의 가치 체계와 자본 체계가 충돌하고 얽히는 역동적인 플랫폼이다. 이곳에서 미술은 관조나 감상의 대상일 뿐 아니라 창작과 소유, 해석과 유통을 망라한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평가받고 재구성된다. 이러한 아트페어의 특수성을 반영한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은 예술의 방법론이자 형식으로서의 수집과 진열을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 미술의 주요 담론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시해 온 한국의 윤율리 큐레이터(일민미술관 학예실장)와 전시를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는 일본의 이와타 토모야(Tomoya Iwata) 큐레이터(The 5th Floor 디렉터)가 공동 기획했다. 참여 작가는 한국의 돈선필, 정금형, 염지혜, 오가영과 일본의 다케무라 케이(Kei Takemura), 다카하시 센(Sen Takahashi) 총 6인이다. 윤율리 큐레이터는 “미술사는 수집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고, 전시는 그것을 진열하는 형식이다. 그런 점에서 수집과 진열은 미술의 가장 근본적인 성질과 맞닿아 있다”라며 “Kiaf SEOUL은 다양한 미술계 참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기 다른 관점으로 미술의 가치를 형성해 나가는 매력이 있다. 이 안에서 모두가 일종의 공모자이자 협력자로 기능하며,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컬렉터-관객’이라는 전통적인 삼각 구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타 토모야 큐레이터는 “한국과 일본은 얼핏 보면 아주 다른 듯하지만 일정 부분 공유하는 문화적 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전시에 참여한 여섯 작가는 통상적인 아트페어에서는 쉽게 만나기 어려운 작가들로, ‘수집’이라는 행위를 통해 각자의 세계관을 드러낸다는 점이 주요 선정 기준이었다. 이들이 ‘수집과 진열’이라는 공통의 언어를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적 맥락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하는지 주목해 주시기 바라며, 이를 통해 동시대 예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시의 의의를 밝혔다.
한국작가 돈선필은 피규어, 굿즈 등을 수집하고 대중문화와 순수미술의 긴밀한 관계성을 탐구해 왔다. ‘포트레이트 피스트 Portrait Fist’는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발견되는 얼굴 이미지, 극도로 도식화된 캐릭터(Kyara)의 얼굴에 주목해 그것이 개인의 정체성이나 성격을 어떻게 압축적으로 전달하는지를 살핀다.
정금형은 기계, 인형, 일상적 사물을 자신의 신체와 결합하여 인간과 사물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왔다. ‘컨디션 체크 Condition Check’와 같은 전작은 미술관 수장고를 주제로 사물이 보존 및 관리되는 방식, 제도적으로 일반화된 유통-소유의 메커니즘을 탐구했다.
염지혜는 신화와 과학 같은 거대한 서사로부터 영감을 얻고 파편을 추출해 비디오와 영상 설치로 풀어내는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분홍돌고래와의 하룻밤 A Night with a Pink Dolphin’은 아마존에서 마주한 분홍돌고래를 계기로, 돌고래에 얽힌 전설과 식민의 역사, 생명 종의 소비 방식을 다층적으로 드러낸다. 오가영은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해 사진-조각 형태로 전환하며, 이미지가 신체 감각에 개입하는 순간을 포착한다. 이번 전시에서 재구성한 ‘해프 스티키 Half Sticky’ 연작은 도시에서 수집한 자연의 파편을 전시 공간에 맞게 재구성한 것으로, 사진은 임시 구조물과 결합해 입체적 설치로 확장된다.
일본의 두 작가 다케무라 케이와 다카하시 센은 수집과 진열의 근본적 의미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탐구한다. 다케무라 케이는 파손된 일상 사물과 조각을 수집해 비단실로 꿰매고 감싸며, 사물의 기억과 흔적을 섬세하게 보존해 왔다.
그의 진열장은 기능이나 형태보다 망각의 경계를 넘는 촉각적 감각을 환기한다. 청동 조각 보존·수복 전문가였던 다카하시 센은 사물의 소멸을 개념적으로 수집·진열하며, 시간에 따라 부패·소멸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 그의 ‘부패하는 컬렉션’은 진열장이 품은 영원의 환상을 되묻는다.
관객은 작가들이 저마다 구축한 ‘뒤집힌’ 컬렉션 사이를 거닐며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시선과 해석을 경험하고 나아가 그것을 또 다른 수집과 진열로 확장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iaf SEOUL 2025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은 오는 9월 3일(수)부터 7일(일)까지 페어 기간 코엑스 A, B홀과 그랜드볼룸까지 전시장 곳곳에서 관람할 수 있다.
Kiaf SEOUL 2025특별전 전시 개요
전시명: 《리버스 캐비닛 Reverse Cabinet》
기획: 윤율리(일민미술관 학예실장), 이와타 토모야 Tomoya Iwata (The 5th Floor 디렉터)
참여작가: 돈선필, 정금형, 염지혜, 오가영, 다케무라 케이(Kei Takemura), 다카하시 센(Sen Takahashi)
전시장소: 코엑스 Hall A, B & Grand Ballroom
Kiaf X KAMS X Frieze 공동 기획 토크 프로그램
키아프는 2023년부터 예술경영지원센터, 프리즈와 함께 국내외 미술계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동시대 예술의 핵심 의제를 공유하고, 한국 미술계와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토크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해 왔다. 올해 토크 프로그램은 오는 9월 4일(목)부터 6일(토)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 2층 STUDIO 159에서 열리며, 예술이 직면한 사회적·기술적·문화적 전환의 흐름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망하는 총 9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예술재단의 공공성과 운영 전략, 아시아 퀴어 미술과 사회 참여 예술의 실천과 역할, 신생 갤러리의 생존 전략, 한국미술의 국제적 위상과 비전, 기술과 알고리즘 창작의 시대에 예술의 창의성과 가능성 등 동시대 미술의 주요 이슈를 폭넓게 아우른다. 키아프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의 전시 기획자와 컬렉터들의 대담으로 이루어진 연계 세션과 아티스트 토크도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이 행사를 더욱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대표 연사로는 이지선(시카고예술대학 총장), 카타오카 마미(모리미술관장), 알프레도 크라메로티(미디어 마즐리스 뮤지엄 관장),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작가),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 김아영(작가), 이진준(작가, 카이스트 교수), 지혜진 (상히읗 설립자), 패트릭 플로레스 (싱가포르국립미술관 큐레이터· 리서치 부관장), 비비안 차우 (아트넷 기자), 푸랏 오사타누그라 (컬렉터, 딥 방콕 대표) 등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 예정이다.
토크 프로그램은 전 세션 무료로 운영되어 키아프 및 프리즈 입장권 없이도 누구나 선착순으로 현장 참여가 가능하다. 사전 신청자에 한해 온라인 생중계도 함께 진행되어 국내외 관객 모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동시대 예술 담론에 접근할 수 있다.
폭넓은 참여와 열린 논의를 지향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예술에 관심 있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만남의 장이자, 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고민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온라인 시청을 위한 사전 신청은 8월 19일부터 키아프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진행된다.
Kiaf X KAMS X Frieze 토크 프로그램 일정 및 주제
9월4일(목) | |
11:30 – 12:30 | 예술의 미래를 위한 재단의 역할 (예정)
Building Art’s Future: The Role of Foundations (tentative) 모더레이터: 가브리엘 리터 (Gabriel Ritter, UCSB 아트·디자인·건축 박물관장, 부교수) 참여 연사: 조에 버트 (Zoe Butt, 인탱저블 인스티튜트 설립자) * 추후 업데이트 예정 |
14:00 – 15:00 | 퀴어 아시아 미술과 기억의 기술 (예정)
Queer Asian Art and the Technology of Re-membering (tentative) 모더레이터: 이용우 (Yongwoo Lee, 홍콩중문대학교 큐레이터 겸 조교수) 참여 연사: 김성환 (Sung Hwan Kim, 작가) 신와이킨 (Sin Wai Kin, 작가) * 추후 업데이트 예정 |
16:30 – 17:30 | 실재와 가상 세계 사이의 예술적 구축
Artistic Imagina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 모더레이터: 김선정 (Sunjung Kim,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 참여 연사: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Adrian Villar Rojas, 작가) 김아영 (Ayoung Kim, 작가) |
9월5일(금) | |
11:30 – 12:30 | 변화의 시대, 아시아 사회 참여 예술
Socially Engaged Art in Times of Change 모더레이터: 이솔 (Sohl C. Lee, 뉴욕주립 스토니브룩 대학 미술사학과 부교수) 참여 연사: 패트릭 플로레스 (Patrick Flores, 싱가포르국립미술관 큐레이터·리서치 부관장) 보 정 (Bo Zheng, 홍콩시립대 미디어아트 부교수) 에이미 청 (Amy Cheng, 싱가포르 미술관 시니어 큐레이터) |
14:00 – 15:00 | 변화를 이끄는 동력: 서울 신진 갤러리와 동시대 미술 생태계
Engines of Change: How Seoul’s Emerging Galleries Are Shaping the Scene 모더레이터: 김재석 (Jaesuk Kim, 엑스라지 갤러리 디렉터) 참여 연사: 이승민 (Seung Min Lee, 에이 라운지 대표) 지혜진 (Hye Jin Jee, 상히읗 대표) 김나형 (Nahyung Kim, 디스위켄드룸 대표) 김인선 (Inseon Kim,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대표) |
16:30 – 17:30 | KAMS x AAP 북토크: 우연적 세계들
KAMS × AAP Book Talk: Contingent Worlds 모더레이터: 미셸 찬 (Michele Chan, 아트아시아퍼시픽 에디터) 참여 연사: 최원준 (Onejoon Che, 작가) 고결 (Gyeol Ko, 이끼바위쿠르르 작가) |
9월6일(토) | |
11:30 – 12:30 | 해외에서 바라본 한국 미술 시장의 위상
Global Perspectives on the Korean Art Market 모더레이터: 김상훈 (Sang-Hoon Kim, 서울대 교수) 참여 연사: 이지선 (Jiseon Lee Isbara, 시카고예술대 총장) 비비안 차우 (Vivienne Chow, 아트넷 기자) 카타오카 마미 (Mami Kataoka, 모리미술관장) |
14:00 – 15:00 | 창의성을 다시 묻다: 예술의 새로운 지평
Questioning Creativity: Art and the New Frontier 모더레이터: 이안 로버트슨 (Iain Robertson, 홍익대 교수) 참여 연사: 이진준 (Jinjoon Lee, 작가 겸 카이스트 교수) 알프레도 크라메로티 (Alfredo Cramerotti, 미디어 마즐리즈 뮤지엄 관장) 서효정 (Hyojung Seo, 작가) |
16:30 – 17:30 | 특별전 연계 토크: 진열된 마음
Special Exhibition Talk: A Mind on Display 모더레이터: 윤율리 (Yuli Yoon, 일민미술관 학예실장) 참여 연사: 이와타 토모야 (Iwata Tomoya, The 5th Floor 디렉터) 박주미 (Ju-mi Park,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컬렉터 ) 푸랏 오사타누그라 (Purat Osathanugrah, 컬렉터, 딥 방콕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