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레스토랑 테크 기업 ㈜먼슬리키친(대표 김혁균)이 자체 개발한 먼키POS·테이블오더 통합 시스템이 미국 뉴욕의 중대형 레스토랑 ‘Golden Pig’에 납품되며 현지 상용화에 성공했다.
자체 기술로 개발된 POS·테이블오더 통합 시스템이 미국 주요 결제 및 배달 인프라와 완전 연동되어 중대형 외식업장의 운영 검증을 마친 것은 이번이 최초 사례다. 이는 향후 미국 레스토랑 솔루션 시장에 국산 기술의 표준 운영 모델을 제시할 실증적 근거로 평가된다.
‘Golden Pig’ 매장은 월매출 약 30만 달러(연간 한화 약 50억) 규모로, 다품목 메뉴와 높은 테이블 회전율의 복합 외식업장이다. 이 매장에는 Pion POS 3대와 Orderpay 테이블오더 기기 30대 등 총 33대가 통합 설치되었다. 이 통합 시스템은 고객 주문-KDS(주방 실시간 연동)-현장 결제–대시보드 매출 관리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체계로 연동한다. 운영 분석 결과, 이 도입으로 테이블 회전율 증가, 대기 시간 단축, 주문 정확도 향상 등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이 검증되었다.
Pion POS는 미국 주요 결제망 3사(Fiserv, Elavon, Tsys)와 연동되며 현지 표준 단말기를 지원한다. 또한 DoorDash, UberEats, Grubhub, 자체배달 등 주요 배달 플랫폼 4사 및 자체 배달과 주문 동기화 기능을 탑재해 미국 외식 시장의 핵심 운영 환경을 포괄하고 있다.
이는 단순 기기 납품을 넘어 현지 금융·유통 구조에 기술적으로 완벽히 통합됨을 의미한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 국산 POS 솔루션의 중대형 매장 상용화 사례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설계·개발·공급이 모두 국내 기술 기반으로 이뤄졌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먼슬리키친의 Orderpay 테이블오더는 Pion POS와 직접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무선 방식 특성상 별도 공사 없이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3~5일 지속되는 배터리로 운영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는 국내에서 효용성을 입증한 주문 빅데이터 기반의 AI CRM(재방문 유도 마케팅) 기술을 미국 현지 시장에 맞게 최적화하는 작업이 병행되고 있다. 기존의 단순 주문 도구를 넘어 ‘매출 기여형 플랫폼’ 으로 진화시킨 점도 먼키만의 차별화된 기술력이다.
미국 외식시장 조사기관 Technomic에 따르면 미국 레스토랑의 기술 투자는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주문·결제 자동화 시스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미국 외식업계 전문가들은 “POS와 테이블오더가 분리 운영되던 기존 모델과 달리 주문–조리–결제–매출관리 전 과정을 통합한 시스템 적용의 최초 성공 사례로 실효성이 미국 시장에서 입증된다면 미국 외식 프랜차이즈에 적용 가능한 표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중대형 매장 단위의 성공 사례가 축적되면 프랜차이즈 전반으로 확대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평했다.
먼슬리키친은 ‘Golden Pig’ 매장의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으로의 확대 적용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레스토랑 POS, KDS, Web 대시보드 중심의 공급 체계를 모바일 POS, 온라인 주문 플랫폼 등으로 순차 확장하며 시장 공략의 폭을 넓힐 예정이다.
김혁균 대표는 “이번 성과는 단순 납품을 넘어 현지 인프라 통합 실증을 완료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 실증 기반 위에 국내 효용성이 입증된 AI CRM 기술을 현지화하여 미국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확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SSF샵-로고[1]](https://tn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SSF샵-로고1-300x58.png)
![스타벅스더양평DT1[1]](https://tn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스타벅스더양평DT11-300x200.jpg)
![네이버볼로그[1]](https://tn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네이버볼로그1-300x133.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