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10월 4, 2025
Home미분류MZ세대, 파타고니아의 ‘펀호그(Funhog)’에 열광하다

MZ세대, 파타고니아의 ‘펀호그(Funhog)’에 열광하다

산과 바다에 ‘펀호그(Funhog)’[i]들이 늘어나고 있다. 펀호그란 궁극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 파타고니아의 창립자 이본 쉬나드도 대표적인 펀호그로 알려져 있다.

1968년, 이본 쉬나드를 포함한 등반가 4명은 아르헨티나의 피츠로이로 ‘비바 로스 펀 호그(Viva Los Fun Hog: 펀호그 만세!)’라는 이름의 로드 트립을 떠났다. 이들은 모험을 통해 웅장하고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어 환경보호를 결심하게 되었고 파타고니아 일대와 더 나아가 지구를 기후 위기로부터 지키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런 펀호그의 모습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자연을 즐기는 모습과 유사하다. 최근 등산, 서핑, 트레일 러닝 등 자연에서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는 MZ세대가 늘어났는데, 이들은 직접 몸으로 부딪히며 자연과 교감하고 개인적인 성취와 보람을 느끼는 ‘알피니즘(Alpinism)’을 추구한다.

더 나아가 자신이 즐기는 자연을 보존하려는 활동에도 앞장서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거나 ‘플로깅(Floggin)’ 혹은 ‘줍깅’이라 불리는 쓰레기를 주우며 달리고 걷는 환경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렇게 알피니즘과 그 바탕인 자연 환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파타고니아가 일관적으로 추구해온 방향과 일치하며, 이는 펀호그인 MZ세대가 파타고니아를 좋아하는 이유로 볼 수 있다.

파타고니아는 1982년부터 펀호그를 위한 상징적인 제품으로 배기스 쇼츠(Baggies Shorts)를 앞세우고 있다. 다양한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에 적합한 멀티 스포츠 쇼츠로서 자연에서 찾은 패턴과 색감은 물론, 파타고니아가 추구하는 스포츠인 클라이밍과 서핑에서 많은 영감을 받은 디자인으로 펀호그들을 열광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배기스 쇼츠의 인기는 단순히 기능성과 심미성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환경과 사람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제품이기에 오랜 시간 사랑받을 수 있었다.

현재의 배기스 쇼츠에는 리사이클 나일론 소재가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그 비율이 적었지만 꾸준한 개선을 거쳐 2018년부터는 100% 리사이클 나일론으로 제작되고 있다. 나일론은 석유에서 생산되는 고분자 화합물로 재활용이 까다로운 원단 중 하나인데, 파타고니아는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연구하고 노력해왔다.

덕분에 쓰임이 다하고 버려진 폐그물이나 카페트, 낡아 떨어진 옷 같은 포스트컨슈머(Post-Consumer) 소재와 생산 의류나 원단 공정 중 버려지는 자투리인 프리컨슈머(Pre-Comsumer) 소재를 섞어 엄격한 품질 기준을 통과한 100% 리사이클 나일론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배기스 쇼츠에 리사이클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순수 나일론 사용량 92%가 줄어들었으며 물 사용량을 52% 절약했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8% 감소시켰다. 소각장으로 가는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든 것은 덤이다.

또한, 배기스 쇼츠는 공정무역 봉제로 생산되었다. 파타고니아에 2014년부터 도입된 공정무역 프로그램은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의류 업계에서 자행되는 부당한 임금 지급이나 노동 착취, 아동 노동 등을 방지하고 직원들의 생활 임금을 보장하고 있다.

파타고니아는 노동자들의 근본적인 삶의 질 향상과 노동 환경 개선에 앞장서 왔으며, 현재 전체 제품 중 83%를 공정무역 인증(Fair Trade Certified ™)을 받은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10개국에서 7만2000명 이상의 의류 생산 노동자들이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고 있다.

파타고니아는 ‘우리는 우리의 터전, 지구를 되살리기 위해 사업을 합니다.’라는 사명 아래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지구를 위해 진정성 있는 행보를 이어 나가고 있다. 나일론을 사용하는 제품의 90%는 리사이클 나일론을 사용하며, 전체 제품의 84%는 공정 무역 봉제로 생산한다. 앞으로는 리사이클 소재 비중을 더욱 늘리고 천연 소재를 사용하기 위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더 많은 노동자들이 공정무역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