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10월 6, 2025
Home미분류산업부, 친환경 섬유패션 활성화에 팔 걷어 붙였다

산업부, 친환경 섬유패션 활성화에 팔 걷어 붙였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4일 오전 10시 서울 코엑스에서 주요 섬유패션기업 대표들과 함께 정책 간담회를 갖고 섬유패션산업의 친환경 및 저탄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는 산업부 장영진 1차관, 섬유산업연합회 이상운 회장, 패션산업협회 한준석 회장, 영원무역 성래은 대표, 우성염직 구홍림 대표 등이다.

세계 섬유패션 시장은 EU 등 선진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소비자의 친환경 인식 확산, 글로벌 패션기업의 지속가능발전 추구* 등으로 인해 친환경ㆍ리사이클 패션 비중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섬유산업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6~10%, 수질오염의 20%,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20~35% 차지한다.

나이키, 아디다스 등 32개 글로벌 패션기업은 ’30년까지 100% 친환경 섬유 사용 및 재생에너지 전환 협약인 Fashion Pact 체결(‘19.8월 G7정상회담)했고, 현재 76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세계 친환경 섬유시장은 ’2021년 489억불 → ’2030년 1019억불로 연평균 8.5% 성장하고, 전체 섬유시장에서의 비중도 ’2021년 4.9% → ’2030년 7.2%로 증가가 예상된다.

반면, 국내 친환경 섬유패션 규모는 1조원으로 추산돼 전체 내수의 약 2% 수준에 머물고 있다.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친환경 소비 인식은 높으나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친환경 소재는 버진 대비 1.5~2배), 낮은 친환경 브랜드 인지도 등에 막혀 실제 구매로 잘 이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국내 친환경 섬유패션의 시장 규모를 약 1조원, 전체 시장의 약 2%로 추정하고 있다.

또, 생분해ㆍ재활용 섬유 관련 기술력 부족, 폐의류 재활용 시스템 미비 등도 국내 친환경 패션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꼽힌다.

장영진 1차관은 간담회 모두 발언을 통해 “친환경 섬유패션은 자동차 산업의 전기차에 비유될 수 있는데, 탄소중립과 환경문제와 연계되어 우리 섬유패션업계가 피해갈 수 없는 과제”지만, 우리나라가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듯이, “친환경 섬유패션이 중국, 동남아 등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시장을 확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업계의 선제적 투자”를 당부했다.

아울러,‘정부는 섬유패션업계의 지속가능성 전환(SX)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조달 분야 등 친환경 섬유시장 확대, 생분해ㆍ리사이클 등 친환경 섬유소재 기술개발, 폐의류 등 자원순환형 생태계 조성 등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국내 친환경 패션 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우리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