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협회(회장 성래은)는 지난 7월 16일(수), 영원무역 명동빌딩 대강당에서 협회 회원사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패션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강연자로 송길영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 변화 분석 전문가이자 작가가 초청됐다. 불확실한 글로벌 정세와 소비 환경 변화 속에서 국내 패션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 개최된 포럼이다.
송길영 작가는 ‘시대예보: 로컬, 글로벌이 되다”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세계적인 부상과 그로 인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했다. 송 작가는 “과거와 달리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 고유의 일상적인 문화와 공간을 경험하고 싶어 한다”면서, “이는 전통적인 관광 명소나 박물관이 아닌 ‘골목’이나 ‘일상적인 장소’, 심지어는 하이킹 코스나 스타필드와 같은 평범한 공간이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 작가는 특히 “드라마, K-POP 등 문화 콘텐츠가 관광을 견인하며, 개인 관광객(FIT)의 증가와 함께 ‘한국적인 것’의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이제 한국 제품은 가성비가 아닌 프리미엄 이미지로 전환되어야 하며, 물질을 넘어선 문화와 철학을 파는 전략을 통해 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포럼 시작에 앞서 성래은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2025년 현재 우리는 매우 복잡하고 빠르게 요동치는 시대를 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무역 환경이 다시 긴장 국면에 들어섰고, 국내외 경기 둔화와 소비 위축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우리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패션업계가 직면한 어려움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