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카페쇼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전시 운영’을 본격 도입해 글로벌 행사로서의 경험 가치를 한층 확장한다. 아시아 최초의 커피 전문 박람회이자 글로벌 커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성장한 제24회 서울카페쇼(The 24th Seoul Int’l Cafe Show)와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한국관광공사의 AI 기반 통합 관광 혁신 서비스 ‘AI 광집사’를 전시 현장 곳곳에 적용해 운영한다.
‘카페쇼 AI 가이드’는 한국관광공사와 딥파인, 플루언트, 트리플렛, 오후두시랩, 플리토 등 기술 기업들의 협업을 통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AI 지도·AI 다국어통역·AI 밀집도분석·AI 디지털휴먼·스마트ESG 등 다섯 가지 핵심 기능을 전시 전 과정에 적용해 스마트 전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서울카페쇼의 전시장 전체를 한눈에, 개인 맞춤형 관람을 위한 ‘AI 지도’는 코엑스 전관(A~D홀)의 부스 위치, 편의시설, 이동 동선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며 관람 흐름을 부드럽게 연결한다. 관람객의 관심사와 이동 패턴을 분석한 맞춤형 동선·부스 추천 기능은 보다 효율적이고 집중도 높은 전시 관람을 가능하게 했다.
매년 13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서울카페쇼는 관람객들의 쾌적한 전시 환경을 위해 실시간 밀집도를 알 수 있는 ‘AI 밀집도’ 서비스를 통해 등록대 및 전시장 내 인원을 AI가 실시간 분석해 대기시간·밀집도 정보를 키오스크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가장 여유로운 출입구와 전시장 구역을 찾아 이동할 수 있어, 전시 내내 쾌적한 관람 환경이 유지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서울카페쇼는 비즈니스를 위해 방문하는 국내외 바이어들과 관람객들을 위해 37개 언어 통역, 42개 언어 동시번역으로 완전한 글로벌 전시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인 ‘AI 다국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해 자연스러운 소통을 연결한다. 특히 월드커피리더스포럼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통해 발표되는 내용이 42개 언어로 텍스트·음성 동시 번역되어, 글로벌 커뮤니티 구성원 모두가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서울카페쇼는 현장에서 바로 소통이 가능한 ‘AI 안내자’인 전용 AI 디지털휴먼도 선보인다. 관람객이 음성으로 질문하면 세미나 일정, 프로그램 정보, 브랜드 위치 등을 즉시 안내해 복잡한 전시장에서도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서울카페쇼는 지속가능한 전시 운영 실현을 위해 ‘스마트 ESG’를 위한 활동도 지속한다. 스마트 ESG 시스템을 통해 부스별 에너지 사용량과 관람객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탄소 배출량을 자동 분석해 참가 기업들이 실시간 감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람객 또한 ‘나의 탄소발자국’ 기능을 통해 보다 손쉽게 친환경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카페쇼 관계자는 “서울카페쇼와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MICE로서 AI 기술을 도입해 글로벌 MICE 산업이 향해야 할 미래 방향을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며 “AI기술은 단순한 편의 제공을 넘어 관람·참가·운영 전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24회 서울카페쇼는 11월 19일 개막해 오는 11월 2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되며, 티켓은 현장에서 구매 가능하다.


![SSF샵-로고[1]](https://tn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SSF샵-로고1-300x58.png)

![네이버볼로그[1]](https://tn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네이버볼로그1-300x133.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