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인터내셔날은 다양한 라이브커머스 채널과 협업해 MZ세대를 겨냥한 새로운 방식의 제품 판매를 시도하고 나섰다. 그 일환으로 지난 4월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백화점과 온라인몰 외에 MZ(밀레니얼·Z세대) 세대와 접점을 넓힐 수 있는 판매 채널을 확대하기 위해 잼라이브와 손잡고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잼라이브 커머스’는 10대부터 30대까지 주요 타켓으로한 국내 No.1 라이브 커머스/퀴즈쇼 플랫폼이다.
박초롱 PR팀 과장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아우르는 쇼핑 채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고객들과 실시간 소통을 진행하기 위해 잼라이브와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1일 오후 9시 30분에 진행된 첫 방송에서는 ‘코모도’의 히트 상품인 남녀공용 ‘러브 컬렉션’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판매했다. 러브 컬렉션의 러브 티셔츠는 노세일 상품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라방에서는 특별가로 만나볼 수 있었다. 또 15일 오후에는 미국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쥬시꾸뛰르’의 애슬레저 라인을 선보이는 등 각 브랜드의 대표 상품들을 만나볼 수 있도록 기획해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백화점과 자사 온라인몰 S.I.VILLAGE(에스아이빌리지) 외에도 다양한 채널을 통한 판매 확대를 시도해 나가고 있다. 박초롱 과장은 “제품을 단순히 구매하는 행위를 넘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는 MZ세대에 맞춘 변화”라면서 “라이브 커머스는 실시간 소통, 자기 표현 등을 중시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선호하는 온라인 채널로서 점점 큰 비중을 차지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한방 화장품 브랜드 연작(YUNJAC), 中 샤오홍슈 라방 매출 1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고기능성 한방 화장품 브랜드 연작(YUNJAC)이 지난 4월 중국 2위 전자상거래 사이트 징둥닷컴(JD.com)에 입점한 데 이어 현재 샤오홍슈를 비롯해 카올라, 티몰 글로벌 해외 풀필먼트 센터(TOF) 등 3곳에 입점돼 있다. 연작은 올해 중국 밀레니얼을 겨냥한 왕훙 마케팅과 유통망 확장을 통해 대한민국 럭셔리 한방 화장품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특히 지난 3월에는 300만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유명 인플루언서 한승호(Leo beauty)와 함께 샤오홍슈의 라이브방송을 통해 연작의 대표 제품들을 판매했는데, 4시간 동안 판매 예정이었던 물량이 1시간 반 만에 조기 완판되는 폭발적인 반응을 얻기도 했다. 또 3월 1∼30일 한 달 간 샤오홍슈 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1배나 증가해 높은 성장 잠재력을 입증했다. 이같은 성과에 연작 홍보 담당자는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전략 상품을 육성하고 시장 맞춤형 마케팅을 통해 중국 시장 내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신세계TV쇼핑, T커머스 시장 진출 성공
T커머스업계 후발주자인 신세계TV쇼핑이 코로나19 확산 후 발 빠른 상품 편성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2015년 말 ‘드림앤쇼핑’을 인수해 신세계TV쇼핑을 출범했다. 신세계TV쇼핑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은 486억원을 달성했고, 전년 동기 대비 29.9%나 성장했으며, 영업이익도 28억원 발생해 흑자 전화에 성공했다.

이미지.
T커머스가 TV홈쇼핑과 다른점은 TV홈쇼핑은 실시간 생방송을 통해 물건을 판매하거나 전화로 주문을 받는 반면 T커머스는 녹화 방송을 통해 TV화면에 형성된 상품 소개창을 통해 주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신세계TV쇼핑은 그룹사 협업을 통한 상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TV자체 기획 프로그램을 확대 편성하고 콘텐츠 강화 및 모바일 콘텐츠 집중 육성을 통해 올해 연간 흑자 전환을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신세계TV쇼핑은 지난 5월 16일 스타필드 하남점에서 모바일 라이브 방송인 ‘오싹라이브데이’를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신세계TV쇼핑의 대표 모바일 방송인 ‘오싹라이브’는 현장에서 촬영하고 모바일로 실시간 송출하는 방식으로 방송인 김태진이 진행하고 어쿠스틱 듀오 정흠 밴드가 음악을 들려주는 프로그램이다.

또 최근 4050대의 온라인 쇼핑 경험이 늘어나면서 신세계TV쇼핑이 모바일 앱에서 운영 중인 크라우드 펀딩 ‘모내기’에 대한 중장년층의 접근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모내기는 모이면 내려가는 기가 막힌 쇼핑이라는 콘셉트로 구매 고객을 분석한 결과 40대(31.3%)와 50대(41.1%)의 구매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3개월간 매출 분석 결과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상품 역시 중장년층의 선호도가 높은 식품의 비중이 가장 컸다.
신세계TV쇼핑의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온라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신장했으며, 언택트 소비 증가로 중장년층의 온라인 쇼핑 문턱이 낮아지면서 온라인 구매 신장세도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